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일본과 협상, 타결하여 최종적 종결을 약속하였고, 아베 신조 총리는 서면으로 총리 대신의 자격으로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죄와 반성을 표한다고 밝혔는데,
지난 12월 28일 문죄앙은 일본군 종군 위안부 문제를 다시 들고 일어나면서 다음과 같이 입장표명을 하였다.
“위안부 TF의 조사결과 발표를 보면서 대통령으로서 무거운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2015년 한일 양국 정부 간 위안부 협상은 절차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중대한 흠결이 있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유감스럽지만 피해갈 수는 없는 일입니다.
이는 역사문제 해결에 있어 확립된 국제사회의 보편적 원칙에 위배될 뿐 아니라, 무엇보다 피해 당사자와 국민이 배제된 정치적 합의였다는 점에서 매우 뼈아픕니다. 또한, 현실로 확인된 비공개 합의의 존재는 국민에게 큰 실망을 주었습니다.
지난 합의가 양국 정상의 추인을 거친 정부 간의 공식적 약속이라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저는 대통령으로서 국민과 함께 이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점을 다시금 분명히 밝힙니다. 그리고 또 한 번 상처를 받았을 위안부 피해자 여러분께 마음으로부터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실입니다. 진실을 외면한 자리에서 길을 낼 수는 없습니다.
우리에게는 아픈 과거일수록 마주하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고통스럽고, 피하고 싶은 역사일수록 정면으로 직시해야 합니다.
그 자리에서 비로소 치유도, 화해도, 그리고 미래도 시작될 것입니다.
저는 한일 양국이 불행했던 과거의 역사를 딛고 진정한 마음의 친구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런 자세로 일본과의 외교에 임하겠습니다.
역사는 역사대로 진실과 원칙을 훼손하지 않고 다뤄갈 것입니다. 동시에 저는 역사문제 해결과는 별도로 한일간의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위해 정상적인 외교관계를 회복해 나갈 것입니다.
정부는 피해자 중심 해결과 국민과 함께하는 외교라는 원칙 아래 이른 시일 안에 후속조치를 마련해 주기 바랍니다.”
약 14만 2천명으로 추정되는 한인 피해자 중에 현존하는 여성노인은 33명 이라고 하는데, 잊어버릴 만 ~ 하면 들춰내어 당사자들의 의견과는 상관 없이 정치적 시비꺼리로 사용하는 비열한 문죄앙은, 젊은나이의 치매를 부끄러운 줄을 알고, 그게 잘 안되면 옆에서 누가 조언 하든지 하여, 즉각 망령된 짓을 중단해야 할 것이다.
일부에서는 그 위안부들이 성매매를 한 것이지 성노예 역할 만 한 것은 아니다 라고 하는데, 이 쌍칼이 직접 어느 위안부 출신 아주머니에게 직접들은 얘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약 50년 전 쯤으로 기억 되는데, 그 분이 얘기 끝에 “대다수의 일본군 병사들이 일을 치른 후에 돈을 주고 나갔으며….” , “나중에 그 돈(표)을 고향집으로 보냈는데, 고향집에서는 무식해서 그것이 돈인줄을 몰랐었다” 고 했던 것을 지금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물론 처음에는 무서웠고 도망칠 생각도 했었지만 경비가 삼엄하여 불가능해서 나중에는 “에라~ 이왕에 버린 몸 돈이나 벌자~ “ 한 여성들이 한둘이 아니었다”고 고백하였다.
강제 성노역으로 시작하였으나, 그 중에는 일본 여성들도 있었으며, 아예 처음부터 돈을 목적으로 한 여성들도 있었다는 것이다.
이랬든 저랬든 가슴 아프고 눈물겨운 힘없어 나라잃은 설움의 역사임에는 틀림이 없는 일이다. 이제 북망산만 바라보는 30여명의 생존자들과 그 후손들의 가슴을 후벼파서 정치적 이슈로 사용하려는 문죄앙정권과 그 일당들의 치열하고 비열한 정치 집단은 그렇게 소녀들을 성노예적 제물로 대동아 공영권(大東亞共榮權)을 스스로 세우고, 대동아 공영론(大東亞共榮論)을 펼치는 제물로 삼았던 일본제국의 작태와 무엇이 다른가?
본인의 건강이 허락지를 않아, 이만 열린 마당과의 작별을 고하노니~
모든 필진들의 건투를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