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피니언
Los Angeles
열린 마당
제목 복(福) 받기를 원(願)하는가?
작성자 ssangkall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 넣어야 짜다”
이 속담을 북한 에서는 “가마목의 소금도 집어 쳐야만 짜다” 라고 한다 하는데, 부뚜막을 가마목이라 부른단다. 현대 판으로 얘기를 해본다면 아마 “양념통의 소금도 뿌려야 짜다”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자기가 갖고 있는것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무 소용없는 일일 것이니, 목이 말라 절절 매면서도 손에 들고 있는 병물을 마시지 않는다면 목마름이 해소되지 않을 것이고, 아무리 진수성찬이 상다리가 휘어질 만큼 거하게 차려져 있다해도 먹지 않으면 굶주림에 아무런 도움이 될 수 없을 것이고, 샤워꼭지만 하루 종일 바라본다고 먼지와 땀에 찌든 몸이 깨끗해 지지 않는다.

왜 하나 마나한 당연한 얘기를 하느냐고?

당신이 만일, “믿으라!”, “믿습니다!”, 믿기만 하면, 만사형통한다!” 는 말을 입버릇 처럼, 주문 외듯이 하면서도 당신이 무엇을 믿는지 그리고 그 믿는 것을 실천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부뚜막의 소금을 치지는 않고 간이 맞기를 원하고, 물을 마시지도 않으면서 해갈되기를 바라고, 음식을 먹지도 않고 배부르기를, 그리고 샤워를 하지도 않고 몸이 상쾌 해지는 바라는 것과도 같다는 것을 지적하려 하는 것이다.

축복을 받으라고 복을 빌어 주면 기분은 좋겠지만, 사실은 자기가 복받을 짓을 해야 복을받는 것이다. 예수를 믿기만 하면 복을 받을 것이라는 생각은, 마치 “부뚜막의 소금을 바라보기만 하면 간은 저절로 맞는다”는 불로소득을 좋아하는 현대인들을 상대로 현대 목사들이 벌이고 있는 사기행각에 놀아나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어떤 목사들은 이 쌍칼을 저주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쌍칼은 그 저주를 겁내지 않는 이유가 - 물론 저주 받을 짓을 하면 저주를 받는 것이지, 누가 누구를 저주한다고 저주를 받는 것이 아닌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옛말에 “복은 비는 것이 아니라 짓는 것”이라 했다한다. 당신이 예수를 믿는다면 예수의 가르침을 실천해야 할 것이고, 당신이 불자라면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실생활에 적용하고, 어떤 좋은 가르침을 배웠다면 그것을 실천함으로 그 가르침이 말하는 복을 받게 될 것이다.

-쌍칼-

2016-09-13 09:38:46
► 이 글에 대한 독자들의 의견
9   SanghaiP [ 2016-09-13 11:58:44 ] 

인위적을 복받을라꼬 고짓을 흐믄 기복신앙 이랑겨...당나구 귀꾸믕인가 말귀를 못알아 듣능구마잉

8   ssangkall [ 2016-09-13 11:50:57 ] 

상빠가 선생도 복받으려면 입공덕만 쌓지 말고, 복 받을 짓을 하시오~
하물며 입으로도 들어 온 복도 내 뱉는 소리만 골라 하는 것도 알아서 할 일이 아니겠오?

7   SanghaiP [ 2016-09-13 11:42:43 ] 

시차관게로 잠이 않와서 아가씨랑 한 바탕 흐고 여그 들어 옹께 사시미 쌍칼이 또 기샹충 짓을 혔뿌럈꾸마잉. 글내용도 기복 신앙의 테두리를 벗어 나지 못하는... 오히려 기복 신앙을 조장흐는 내용이 구마잉. 촌시릅다 꼬매이야

6   ssangkall [ 2016-09-13 10:58:19 ] 

소금이 모자라는 그릇은 맛이 없으니 소금을 치는 것입니다.

5   zenilvana [ 2016-09-13 10:37:52 ] 

문제는 남의 글에 소금을 집어넣는 겁니다.
앞으로는 자기 국에다 소금과 된장
그리고 고추장을 왕창 처 잡수시길...

1 2 3 
로그인 해주세요!
전자신문
주간운세
시민권 취득 예상문제
운전면허 예상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