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을 주시면 계속 경청하겠습니다.
여기 가끔 어느 분이 언급하는 종교 지난번에 길게
인용한 적이 있으니 참고 차원 정도로 간략하게 적습니다.
불교의 붓다가 깨달음을 얻었다는 것도 이전에 인도에 있었던 조로아스터교를 인용, 참고하고 얻은 깨달음이라고 했고 힌두교는 이 종교와 토속 신앙의 결합물이라고 언급했던 걸 기억하실 것입니다.
밑에 보면 창시자의 이름이 스피다마 자라투수트라(SpitamaZarathustra) 이렇게 나옵니다.
여러분들이 신을 부정할 때 가끔씩 인용하는 신은 죽었다.
정신 이상자의 망언이고 독일 파시스트의 이론의 근간이 되는 것을 안다면 더 이상은 인용 마시길 바랍니다.
달리 정신 이상자의 논리인 독재를 찬양하는 것이 됩니다.
니이체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의 자라투스트라입니다.
부디 한 문장만 인용하지 마시라고해서 옮겨옵니다.
이 책의 근본적인 사상에 대하여 해설하기로 한다.기독교의 도덕적 가치에 대표되는 초월적 가치가 참다운 실재라고 믿어지고, 그것에 의하여 이제까지 사람들이 질서있는 공동생활을 보내왔으나 그러한 신앙이 점차로 허물어지고 초월적 가치가 실은 허무가 아닌가 하고 사람들이 생각하게 된 결과, 인간의 공동생활이 그 근거를 잃고 현실생활이 본질적으로 권력의지의 싸움의 세계로서의 양상을 갖는 것이 폭로되기에 이른 현대의 위기적 상황, 그것이 니체의 이른바 "신의 죽음"이라는 니힐리즘적 상황이다.그러한 현대의 니힐리즘적 상황으로부터 도피하지 않고서 도리어 그것을 있는 그대로 확인하려는 그의 유례없는 실존적 성실함에서 나온 사상이 "권력에로의 의지"라는 그의 사상이다.
독일의 철학자. 생(生)철학의 대표자로 실존주의의 선구자, 또 파시즘의 사상적 선구자로 말해지기도 한다.
본 대학을 거쳐 스위스의 바젤 대학 교수직(1869~1879)을 그만두면서부터 고독한 생활을 하다가 →☛ 정신이상으로 정신병원에서 생애를 마쳤다.그는 종래의 합리적 철학, 기독교 윤리 등 모든 종래의 부르주아 자유주의의 이데올로기를 부정하고 철저한 니힐리즘(nihilism)을 주장하여 생(生)의 영겁회귀(永劫回歸) 속에서 모든 생의 무가치를 주장하고, 선악의 피안에 서서 '약자의 도덕'에 대하여 '강자의 도덕'을 가지고 '초인'(超人)에 의해서 현실의 생을 긍정하고 살아야 함을 주장했다.이 사상 속에는 생물진화론의 생존투쟁의 사고가 존재하고 있음과 동시에,
자본주의가 제국주의 단계로 진행해 가는 19세기 말의 사회상태를 반영하여, 노동자 계급의 격렬해져 가는 공세 앞에서 자본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종래의 자유주의적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를 대신하여
⚬→ 파시즘의 이데올로기를 제창하였으며, 사회주의를 '노예도덕'으로 간주하고 지배계급의 독재지배를 '군주도덕'으로 높이 내걸어 '권력에의 의지'를 강조하는 입장에 선 사람이었다.
[네이버 지식백과]니체 [Nietzsche, Friedrich Wilhelm]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 ─敎]
조로아스터교의 상징인 아후라 마즈다
고대 페르시아의 철학자이자, 오늘날 예언자로 불리는 조로아스터(Zoroaster)에 의해 창시된 종교로 유일신 아후라 마즈다를 숭배하며, 이원론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은 유일신 아후라 마즈다(AhuraMazda)를 믿는다 하여 스스로를 마즈다 예배교(마즈다야스나 : Mazdayasna)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배화교(拜火敎), 중국에서는 현교(祆敎)라고 하여 삼이교(三夷敎)의 하나로 꼽혔다.
조로아스터교의 유일신 사상, 내세관, 선과 악으로 대비되는 세계관 등은 유대교·그리스도교·불교·이슬람교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동 지역에 이슬람이 도래하면서 그 교세가 크게 줄었으나, 오늘날에도 인도 뭄바이, 이란 야즈드, 아제르바이잔 등지에서 15만여 명의 신자들이 교세를 잇고 있다. 이 종교의 창시자 조로아스터의 본명은 스피타마 자라투스트라(SpitamaZarathustra)이며, ’조로아스터’는 자라투스트라의 그리스식 발음이다.
그의 출생 연대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주장들이 있는데, BC 660년 경이라고 보는 것이 보통이지만, 학자에 따라서는 BC 1500년 경, 혹은 BC 6000년 경으로 보기도 한다.
창시자 조로아스터의 출생 연도가 불확실한 만큼 이 종교가 창시된 시기에 대해서도 다양한 주장들이 있다. 전승에 따르면 그는 열두 살에 집을 떠났고, 서른 살에 강력한 신비체험과 영감을 얻어 이후로 자신의 새롭고 독창적인 메시지를 가르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조로아스터교는 이원론적 일신교(一神敎)로, 고대 인도-이란 또는 인도-게르만의 종교적 공유재산에 근원을 둔 신들이나 제령(諸靈)을 최고신 아후라 마즈다 아래 통괄하고, 우주를 선과 악의 두 원리로 설명한다.
아후라는 ‘주(主)’를 의미하며, 마즈다는 ‘지혜’를 의미하므로 아후라 마즈다는 ‘지혜의 주’를 의미한다. 존재는 각각 지혜·사랑·봉사·경건·완전·불멸을 상징하고, 이 모든 것이 합쳐져 아후라 마즈다의 속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경전 《아베스타(Avesta)》에 의하면, 태초에 아후라 마즈다에서 두영이 나왔는데 하나는 선을 선택한 영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천사인 스펜타 마이뉴(spentasmainyu)이고, 다른 하나는 악을 택한 앙그라 마이뉴(angramainyu, 훗날의 아흐리만, ahriman)이다. 앙그라 마이뉴는 다른 이름들로도 불렸는데, 그 중 가장 많이 불리는 이름은 샤이틴 혹은 사탄이다.
그의 주위에는 악마의 무리가 있어서 명령에 따라 사람을 시험하거나 괴롭히는 일을 수행한다.
이러한 교리를 통해서 조로아스터교는 세계에서 최초로 악마에 대한 계보를 체계화 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처럼 선과 악을 분명히 구분한 조로아스터교에 따르면, 세상은 선과 악이 싸우는 투쟁의 현장이며, 인간은 타고난 이성과 자유 의지를 활용하여 이 둘 중 한쪽을 선택해야 한다.
이 때 인간은 선을 선택하여 완전함에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선택의 결과에 따라 인간의 운명이 결정된다. 이 때 선과 악은 한쪽이 존재해야지만 다른 한쪽도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아후라 마즈다의 쌍둥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선의 천사들이 원래의 자연종교적 ·물신숭배적(物神崇拜的) 특성이 약화되고 아후라 마즈다의 뜻대로 움직이는 비주체적 천사가 되고, 반대로 악의 천사들은 주체성을 회복하고 아후라 마즈다와 직접 대결하게 된다.조로아스터교의 종말론은 2단계로 되어 있다.
신자들은 사람이 죽으면 영혼이 3일 동안 몸에 그대로 남아서 한평생 행한 일을 돌이켜보고, 제 4일이 되면 심판대로 간다고 믿는다.
따라서 사자(死者)의 육체는 그들의 독특한 장사(葬事)법인 풍장(風葬) ·조장(鳥葬)에 의해 독수리와 들개들의 밥이 되지만, 영혼은 천국의 입구에 도달한다.
그곳에서 천사 미드라가 죽은자의 삶의 행위를 저울에 올려놓고 심판을 한다.
저울이 악한 쪽으로 기울면 그 영혼은 지옥으로 가고, 약간이라도 선한 쪽으로 기울면 그 영혼은 천국으로 간다.
심판을 받은 영혼은 계곡을 가로질러 놓인 다리를 지나는데, 선한 영혼은 넓고 편안한 다리를 건너서 계곡 너머의 천국으로 가고, 악한 영혼은 칼날 같은 다리를 건너다가 결국 계곡 아래의 지옥으로 떨어진다. 한편 조로아스터교의 사후 세계에는 천국과 지옥 외에도 '하밍스타간 (Hamingstagan)'이라는 곳이 있다. 하밍스타간은 양쪽 어디에도 갈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중간 상태를 말하며 혼합된 지역이라는 뜻을 가진다.
즉, 선한 행동과 악한 행동을 저울질했을 때에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사람들이 가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오늘날 천주교가 인정하고 있는 연옥설과 유사하지만, 연옥에서 용서받은 영혼은 죄를 씻고 천국으로 옮겨질 수 있다고 하는 천주교의 교리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한편 천국과 지옥에 간 영혼은 거기서 영원히 사는 것이 아니라 아후라 마즈다가 예정해 놓은 종말에 이르러 구세주가 나타나면, 모든 영혼들이 부활하고, 악한 영혼은 순화되어 선한 영혼과 합류한다.
그러나 사탄과 악령들은 완전히 소멸된다.
조로아스터교 [Zoroastrianism, ─敎] (두산백과)
말씀을 주시면 계속 경청하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