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학살 주범’ 전두환, 6월항쟁 때도 軍 투입 ‘만지작’
美정부 기밀해제 문서.. 전두환 “무정부 상태 발생시 시민안전 위해 무력 동원해야”
김미란 기자 | balnews21@gmail.com
승인 2016.06.29 09:53:02 수정 2016.06.29 10:06:01
80년 ‘5‧18 광주학살의 주범’ 전두환이 87년에도 ‘6월항쟁’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 동원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은 <국민일보>가 입수한 ‘시거 차관보와 전두환 대통령의 회동’이라는 제목의 미국 정부 기밀해제 문서를 통해 드러났다.
[큰 이미지 보기]
29일 <국민일보>에 따르면, 전두환은 ‘6.29선언’ 닷새 전인 87년 6월 24일, 청와대에서 개스틴 시거 미 국무부 차관보를 만나 “공공안전이 완전히 사라지고 무정부 상태가 발생할 경우 정부는 시민들의 안전을 보호 하기 위해 필수적인 무력을 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씨는 시거 차관보에 ‘내전으로 치닫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언급하며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국가를 파괴하려는 반란세력의 편을 들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최악의 시나리오가 발생하면 미국은 한국정부를 지지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해 달라”고 부탁한데 이어 “손 쓸 수 없는 상황으로 가는 것은 한국이나 미국 정부에 위험 부담이 크다”고 미국을 압박하기도 했다.
<국민>은 “전씨는 군대 동원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공공안전의 완전한 소멸’, ‘무정부 상태’, ‘내전으로 치닫는 최악의 시나리오’ 등 표현을 사용했다”고 전하며 “만약 전두환 정권이 군대를 투입했다면 ‘5.18민주화운동’을 초월하는 유혈참극이 벌어질 수도 있었으나 정권 내부의 이견 등으로 최악의 비극을 피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같은 보도를 접한 일부 네티즌들은 당시 군 복무 중이었다고 주장, “그 당시 군대 있었던 사람들은 다 아는 건데.. 진압훈련도 했고 투입시기만 찾다가 6.29선언으로 원대 복귀 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내가 군에 있을 때다. 차량 병력 대기 상태인걸로 기억한다. 명령을 따를지 국민과 민주주의를 따를지 고민 하던 군 시절이 아닌가 싶다”, “충정부대들이 모든 준비를 마치고 명령만 기다렸다고 그랬지”, “내가 증인이다. 영문도 모르고 벽제에서 비상출동 대기중이었다”라는 댓글을 달았다.
이밖에도 “이러고도 광주에 발포명령 안했다고?”, “경호 인력 철수시켜라, 무슨 예우라고 그 인간을 경호하는지..”, “왜 우리는 진실을 우리의 법정이 판결을 못하고 미국이란 나라가 던져주는 먹이에서 알게 될까?”, “지금 정권이랑 똑같네”, “이제 더 이상 대통령이라고도 부르지 말자. 진짜 X팔린다”, “국가반란, 대국민 학살이었음에도 버젓이 대우받고 살고 있는 위대한 대한민국” 등 비판이 잇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