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피니언
Los Angeles
열린 마당
제목 동물에게 배우는 노년의 삶
작성자 coffee

동물에게 배우는 노년의 삶
노년의 동물들이 만물의 영장인 인간에게 던지는 메시지;

나이가 들어감은 모든 생물이 거스를 수 없는 이치다.
야생을 살아가는 동물이든, 만물의 영장이라 불리는 인간이든 모두가 늙는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노화라는 것은 쓸모가 없어짐을 의미하기도 한다.
‘번식’은 모든 생물에게 가장 근원적인 목표이자 본능인데, 노화가 될수록 번식의 기능은 퇴화하기 때문이다.
결국 ‘쓸모가 없어진다.’함은 무리 내에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런데, 과학자들의 실험에서 아주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1975년에서 1984년 사이 도살된 717마리의 고래로 고래에 대한 번식 상태와 나이에 대한 연구를 하던 도중, 36살 이상의 암컷 고래 92마리 중 임신한 고래는 단 한 마리도 없었다는 것이다.
철저히 생존과 번식의 논리에 따라 움직이는 야생에서 이들은 어떻게 무리 속에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야생의 동물들에게 번식은 가장 중요한 목표이고 본능인데 번식을 못하는 돌고래는 어떻게 무리에서 살아날 수 있었을까?
동물에게 배우는 노년의 삶,
무리 구성원이 더 이상 번식 못 한다고 해서 존재 가치를 잃지 않으며
나름의 방식으로 무리에 이바지하고 구성원에게 존경과 돌봄을 받는다.

돌고래는 먹이를 찾으러 깊은 물속으로 들어간다.
이때 수면에 머무는 어린 sea끼들은 포식자의 위협과 배고픔 속에서 어미를 기다린다.
노년의 돌고래의 역할은 지금부터 남은 sea끼를 보호하고 젖을 물린다.
나이는 들었지만 이들은 무리에서 분명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역할 가르침이다.

고령의 아프리카 코끼리는 모래를 파서 물을 찾는 법을 가르치고 늙은 범고래는
연어가 다니는 길목을 가르치고 휴식 장소를 알려준다.
늙은 랑구르 원숭이는 표범의 매복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전수한다.
오랜 세월을 통해 얻은 경험과 지식, 지혜는 구성원의 생존에 크게 이바지한다.

노년의 동물들이 무리 내에서 살아남는 방식과 그런 동물들을 받아들이는 무리 구성원들의 모습은 우리 인간들에게도 수많은 점을 시사한다.

배제되고 소외된 채 살아가는 현대사회의 노인들.
그들이 쌓아온 경험과 지혜는 누군가의 잔소리, 구시대적 발상, 속되게 말하는 ‘꼰대짓’으로 여겨진다.
그렇게 노인을 공경해야 한다는 당위도 존경할 노인도 없다는 인식 속에서 노인은 오히려 혐오의 대상이 되어버리기도 한다.
꼰대가 되든지 자신의 경험과 지혜를 나누는 존경받는 어른이 될것인지
누가 그렇게 몰아 세우는 것이 아닌 자신의 선택이 될것이다.

이런 모습을 살펴보면 오히려 동물들이 인간들보다 슬기롭게 노년을 헤쳐나간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지금 노인을 대하는 태도는 머지않아 미래 세대가 우리를 대하는 태도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지금의 노인이 우리 사회에서 인정받고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은 결국 우리를 위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동물에게 배우는 노년의 삶>에 담긴 동물들의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노인과 우리를 위한 일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자 않을까.
[

2017-10-06 21:04:39
► 이 글에 대한 독자들의 의견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전자신문
주간운세
시민권 취득 예상문제
운전면허 예상문제